피터 린치의 이기는 투자
책을 고른 이유
요즘 재테크에, 특히 미국 주식에 관심이 많다. 매일 출근 길, 매일 미국 주식 방송을 보고 있다. 주식을 보유하지 않을 때는 모른다. 주식을 갖게 되면, 내가 산 주식들이 오르면 왜 올랐는지, 내리면 왜 내렸는지, 언제 반등하는지… 참 궁금해진다.
주식에 대한 나의 생각을 조금 말해보자면, 나는 미국 주식은 결국 우상향한다는 믿음이 있다. 주로 시장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들을 포트폴리오에 담는다. “투자할 줄 모르면 그냥 S&P 500을 적립식으로 투자하라” 라는 말이 정말 좋은 조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을 순 없다. 항상 헷징은 필수다. 따라서 S&P 500만 주구장창 구매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서, 포트폴리오를 짜야 하는데… 현재 정세에 따라 종목 별 비중은 달라져야만 한다. 금리, 관세, 전쟁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비중을 잘 조절해야 한다.
이렇게 종목을 골라 담다 보면 참 재미있다. 수익률도 꽤 괜찮다. 아마 아직까진 수익률이 좋아서 재밌는 것 같다. 나는 늘 고심히 선정한 나의 포트폴리오가, 단순히 지수 추종 ETF를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것보다 수익률이 더 좋을 것이라고 막연히 생각했다. 하지만 막상 비교해보면 그렇게 큰 차이는 없었다.
피터 린치는 말한다. 최적의 투자시점을 고민하기 보다 매달 정기적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더 높은 승률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우연히 읽은 서평에서 이 문구를 보고, 나는 이 책을 읽어보기로 결심했다. 펀드매니저 조차도 S&P 500을 이기기 어려운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