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image of post 플립플롭

플립플롭

카르노 맵을 이용한 맵의 간소화

본 포스팅은 ‘Mano의 컴퓨터시스템구조’ 교재를 참고했습니다.

플립플롭

플립플롭(flip-flop)은 한 비트의 정보를 저장하는 이진 셀(cell)로서, 정상 출력과 보수화된 출력을 가지고 있다. 플립플롭은 입력 펄스가 상태 변환을 일으키기 전까지 이진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전기 신호가 지속적으로 공급 되어야만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입력의 수와 입력이 이진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SR 플립플롭

SR 플립플롭

$S$(set), $R$(reset), $C$(clock)로 이루어진 세 개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 $Q$ 를 가지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작은 원을 기호로 하는 보수화된 출력을 갖기도 한다. $C$에 있는 화살표는 동적 입력(dynamic input)을 나타내는 것으로, 플립플롭이 입력 클럭 신호의 상승 변이에서 동작함을 의미한다.

$S=1, R=0$이면 $Q=1$이 되고, $S=0,R=1$이면 $Q=0$이 된다. $S=R=0$이면 $Q$는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S=R=1$이면 $Q$값은 랜덤하다.

D 플립플롭

D 플립플롭

D(data) 플립플롭은 SR 플립플롭의 S와 R 입력을 인버터로 연결하고 D라는 기호를 붙인 것이다. $D$ 값이 그대로 저장된다.

D 플립플롭은 불변조건 $[Q(t+1)=Q(t)]$가 없기 때문에, 불변 조건을 만들기 위해서는 클럭을 끊거나 출력을 입력으로 되돌려 주어야 한다.

JK 플립플롭

JK 플립플롭

SR 플립플롭에서 $S=R=1$ 일 때 $Q$ 값이 랜덤하다는 단점을 보완한 것이 JK 플립플롭이다. $J=K=1$일 때 클럭 펄스는 플립플롭의 출력을 보수로 만든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Q(t+1)=Q^\prime (t)$ 이다.

T 플립플롭

T 플립플롭

T(toggle) 플립플롭은 JK 플립플롭에서 입력 J와 K를 T 하나로 묶은 것이다. $T=0$인 경우 상태의 변화가 없고, $T=0$인 경우 상태는 보수가 된다. 회로도를 보면서 이해하면 편하다.

각 플립플롭별 회로도

Edge-Triggered 플립플롭

Edge-Triggered 플립플롭

상태 변경을 클럭 펄스의 변이 동안 동기화하는 것을 모서리-변이형 플립플롭이라고 한다. 입력 펄스가 일정한 임계값을 넘어설 때 입력값을 고정시켜 클럭 펄스가 0이 되거나 다음 펄스가 올 때까지 값을 유지한다. 클럭 펄스가 상승할 때 (Positive-edge-triggered) 반응하거나, 하강할 때 (Negative-edge-triggered) 변이한다. 입력 $D$의 변이가 효과를 미치기 위해서는 입력 $D$의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최소 시간인 set up time과 클럭 변이 후 $D$의 값이 변화하지 않아야 하는 hold time을 필요로 한다. 전파 지연 시간보다 짧게 클럭 펄스가 High를 유지한다면, Rac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 master-slave 플립플롭이 있다. 이것은 클럭이 1일 때 반응하는 master 플립플롭과 클럭이 0일 때 반응하는 slave 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 클럭이 1에서 0으로 변할 때 입력이 출력으로 전달되는 효과를 가져 Rac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