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image of post 프로세스의 개념에 대한 이해

프로세스의 개념에 대한 이해

운영체제를 공부할 때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개념, 프로세스에 대하여

프로세스

간단하게 말하자면,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프로그램 자체는 단지 명령어가 저장된 파일에 불과한 수동적인 존재이지만, 이것이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될 때 프로그램 카운터와 메모리, 레지스터 같은 자원을 가진 능동적인 존재, 프로세스가 된다.

프로세스의 현재 활동의 상태는 프로그램 카운터 값과 프로세서 레지스터의 내용으로 나타낸다.

프로세스의 메모리 구조

프로세스 메모리 배치

프로세스는 메모리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섹션으로 나뉜다.

  • 텍스트(Text): 실행할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는 곳으로, 실행 중 크기가 변하지 않는다.
  • 데이터(Data): 전역 변수와 같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으로, 초기화된 데이터와 초기화되지 않은 데이터로 나뉠 수 있다.
  • 힙(Heap): 프로세스 실행 중 동적으로 할당되는 메모리가 저장되는 공간으로, 크기가 실행 중에 동적으로 변경된다.
  • 스택(Stack): 함수 호출 시 임시 데이터(함수 매개변수, 복귀 주소, 지역 변수 등)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함수 호출 및 복귀에 따라 크기가 변한다.

스택과 힙 영역이 충돌하지 않도록 운영체제가 관리해야 한다.

프로세스의 상태 변화

프로세스의 상태 다이어그램

프로세스는 실행되면서 상태가 변한다. 상태의 이름은 운영체제마다 다를 수 있다.

  • New: 프로세스가 생성되고 있는 상태.
  • Running: 실제 CPU에서 명령어가 수행되는 상태.
  • Waiting: 입출력 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기다리는 상태.
  • Ready: 실행될 준비가 되었지만 CPU가 할당되지 않은 상태.
  • Terminated: 프로세스의 실행이 종료된 상태.

운영체제는 이러한 상태를 관리하면서 프로세스가 원활히 수행되도록 한다.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

Process Control Block

프로세스의 모든 정보는 운영체제 내부에서 PCB(Process Control Block) 에 저장된다. PCB는 프로세스의 신분증과 같은 역할을 하며 다음 정보를 포함한다.

  • 프로세스 상태: 현재 상태(New, Running, Waiting, Ready, Terminated 등)
  • 프로그램 카운터(PC):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
  • 레지스터 정보: CPU 레지스터 상태
  • 메모리 관리 정보: 메모리 할당 정보(페이지 테이블 등)
  • CPU 스케줄링 정보: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및 스케줄링 정보
  • 입출력 상태 정보: 열린 파일 목록 등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입출력 자원 정보